조건부 수급자를 위한 시간제 자활 근로와 생계비 안내

 

저소득 가정의 구원투수, 조건부 수급자란?

반갑습니다! 오늘은 조건부 수급자와 시간제 자활 근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먼저 조건부 수급자에 대해 설명드리면, 생계급여를 받는 분 중에서 만 18세 이상부터 만 65세 미만이면서 근로 능력이 있는 분들을 말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는 2003년생 생일 다음 달부터 1956년생 생일이 속한 달의 이전 달까지 해당되는 거죠~

예시

예를 들어 2003년 3월 10일생인 생계급여 수급자분이라면, 올해 4월부터 학업이나 건강 등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근로 능력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조건부 수급자가 되는 겁니다. ^^

당신께 드리는 특별한 기회, 자활 근로!

조건부 수급자가 되면 근로 능력이 없다는 판정을 받거나, 특별한 사유로 유예를 받지 않는 한 자활 근로를 하셔야 합니다. 자활 근로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오늘은 특히 시간제 자활 근로에 초점을 맞추어 알아보겠습니다.

누가 시간제 자활 근로를 할 수 있을까요?

시간제 자활 근로는 조건부 수급자 중에서도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는 분들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양육·간병: 미취학 자녀 양육자, 초등학생 자녀 양육자, 70세 이상 노부모 부양자, 거동이 불편한 가구원 간병·보호자
  • 취업 준비생
  • 지자체 승인을 받은 기타 사유자
  • 건강상 문제로 일 8시간 근로가 어려운 자
  • 만 39세 미만 참여자(해당 지역에 청년 자립 도전 자활사업단이 미설치된 경우 등)
  • 시간제 자활 근로, 실제로는 얼마를 받나요?

    자활 근로의 급여는 일반 근로자의 최저 임금보다 낮은 편입니다. 특히 시간제 자활 근로의 경우에는 더욱 적은 금액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실제로는 손해가 아니라 이득이랍니다. 왜 그런지 예시를 들어 설명해드릴게요.

    예시 상황

    2인 가구의 2021년 생계비가 926,424원이라고 가정해볼게요. 이 중 한 명이 조건부 수급자라서 시간제 자활 근로를 3월에 다 했다면, 656,240원의 급여를 받게 됩니다. 그러면 656,240원의 70%인 459,368원을 제외한 나머지 467,056원을 생계급여로 받게 되는 거죠.

    따라서 3월에는 시간제 자활 급여(656,240원)와 실비(22일 근무 시 88,000원)를 합친 744,240원, 그리고 생계급여 467,056원을 더해 총 1,211,296원을 받게 됩니다! 보셨나요? 생각보다 꽤 괜찮은 금액이죠? 🙂

    자활 근로 종류별로 급여 금액이 달라요!

    위에서 예시로 들었던 급여 계산은 예시일 뿐이에요. 실제로는 자활 근로 종류(시장진입형, 사회서비스형 등)에 따라 급여 금액이 달라집니다. 단, 계산 방식은 위와 같다는 점 기억해두세요!

    2021년 가구원 수별 생계급여 기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실비를 제외한 급여의 70%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생계급여로 지급되는 거랍니다.

    2021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주거급여 수급비 (자가가구 주거수리비 포함)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나요? 조건부 수급자 여러분 모두 시간제 자활 근로를 통해 따뜻한 생활비 지원을 누리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