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장시설 수급자 생계급여 기준, 한눈에 파악하세요
오랜만에 제가 여러분께 좋은 소식을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아시다시피 2022년 새해가 밝았는데요, 이번에는 보장시설 수급자 생계급여 기준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챙겨보시기 바랍니다~!
가구원 수별 보장시설 생계급여 선정기준
먼저 가구원 수에 따른 보장시설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살펴볼까요?
- 1인 가구: 777,925원
- 2인 가구: 1,304,034원
- 3인 가구: 1,677,880원
- 4인 가구: 2,048,432원
- 5인 가구: 2,409,806원
- 6인 가구: 2,762,802원
- 7인 가구: 3,112,237원
참고로 8인 이상 가구의 경우에는 1인 증가시마다 349,435원씩 더 추가된답니다. 예를 들어 8인 가구라면 3,461,672원이 되겠죠?
시설 규모별 1인당 생계급여 차이!
이번에는 보장시설의 규모에 따라 1인당 생계급여 금액이 달라진다는 점을 꼭 기억해두세요!
- 30인 미만 시설: 286,429원
- 30인 ~ 100인 미만 시설: 258,150원
- 100인 ~ 300인 미만 시설: 247,335원
- 300인 이상 시설: 247,314원
보셨나요? 시설 규모에 따라 1인당 생계급여 금액이 꽤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세부적으로 나누어 놓은 이유가 궁금하시죠?
보장시설이란 무엇인가요?
그렇다면 여기서 ‘보장시설’이 무엇인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겠네요. 보장시설이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라 생계급여 등의 급여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업법상의 사회복지시설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시설들이 있습니다.
- 장애인거주시설
- 양로시설
- 노인공동생활가정
- 노인요양시설
-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아동양육시설
- 아동일시보호시설
- 아동보호치료시설
- 아동자립지원시설
- 정신요양시설
- 정신재활시설(입소생활시설만 해당)
- 노숙인재활시설
- 노숙인요양시설
- 모자가족복지시설
- 부자가족복지시설
- 미혼모가족복지시설
- 여성보호시설
-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 한센병요양시설
- 결핵요양시설
이렇게 다양한 보장시설들이 존재한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여기까지가 2022년 보장시설 수급자 생계급여 기준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었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직 궁금한 점이 남아있다면 주저 없이 물어보세요! 정부 복지포털 사이트와 커뮤니티 등을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여러분께 최대한 도움이 되는 답변을 드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복지혜택에 관한 것이라면 무엇이든 물어보세요~!